중동 테러리즘
우리는 이슬람과 중동 지역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온갖 분쟁의 진원지라는 편견에 더해, 테러리스트와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을 동일시하는 서구의 인식을 그대로 받아들여 중동 지역을 알 카에다와 IS로 대표되는 테러리스트들의 근거지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저자는 이슬람 극단주의와 광신적 극단주의를 신봉하는 테러리스트와 이슬람 근본주의를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신앙적, 학문적으로 순수한 종교 이념을 실천하는 이슬람 근본주의자는 오늘날 세계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테러리스트들과는 명백히 다르다는 것이다.
저자 : 홍준범
저자 홍준범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터키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중동지역학과에서 정치학 석사를 받았다. 주이집트 한국총영사관 영사, 주사우디아라비아 한국대사관 1등 서기관, 주요르단 한국대사관 참사관을 거쳐 UN 한국대표부 참사관을 지냈다. 주영국 한국대사관 공사와 주미국 한국대사관 정무공사를 거쳐 현재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전문경력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제1장 이스라엘 건국과 아랍 민족의 대응
1. 이스라엘 국가 출현
시오니즘 대두/ 팔레스타인 주변 상황/ 영국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 종료/ 이스라엘 독립 선언
2. 아랍 민족주의 발생과 확장
중동에 공존하는 4대 민족주의/ 아랍 민족주의 발생/ 이스라엘 건국이 아랍에 미친 여파/ 아랍의 통합운동
3. 4차례의 중동 분쟁
제1차 중동 전쟁/ 제2차 중동 전쟁/ 제3차 중동 전쟁/ 4 제4차 중동 전쟁
제2장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팔레스타인 건국
1.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결성과 자살 폭탄 테러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파타(Fatah)/ 하마스(Hamas)/ 자살 폭탄 테러
2. 인티파다
제1차 인티파다/ 제2차 인티파다
3. 중동 평화 회담
마드리드 평화 회담/ 오슬로 협정/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협정/ 오슬로 협정Ⅱ/ 와이리버 협정/ 와이리버 협정Ⅱ
4.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
팔레스타인 국가 개괄/ 국가 수립 과정/ 국내 정치
제3장 중동의 새로운 질서 모색
1.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협정
각국의 입장/ 주요 합의 사항/ 아랍권의 반발/ 의의와 한계
2. 이란의 이슬람 혁명
발생 과정/ 이란 혁명의 특징/ 미국의 대응
3. 이란-이라크 전쟁
개전 요인/ 전쟁 양상
4. 걸프 협력회의 결성
5. 레바논 내전
제4장 9.11 테러와 미국의 대테러 전쟁
1. 제1차 걸프 전쟁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제1차 걸프 전쟁 - 미국의 이라크 응징
2. 9.11 뉴욕 테러
알 카에다에 의한 항공기 자폭 테러/ 빈 라덴과 미국의 대결/ 알 카에다의 실체
3. 미국의 대테러 전쟁
아프가니스탄 침공/ 오사마 빈 라덴 사살
4. 제2차 걸프 전쟁
이라크 점령과 사담 후세인 처형/ 미 군정 체제 시행
제5장 재스민 혁명과 민주화 열풍
1. 중동 민주화 운동 개관
상황/ 발생 배경/ 촉진 요인
2. 중동 민주주의 실현의 한계
3. 국가별 민주화 진전 동향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예멘
4. 시리아 사태
시위 촉발 배경/ 정세 변화 추이/ 반군의 세력 구도/ 시리아 사태의 특성/ 국제사회의 대처에 한계 노정/ 중동 역학 관계의 변화/ 미국의 입장
제6장 중동 테러리즘의 변천사
1. 중동 테러의 역사적 조망
테러리즘의 정의/ 테러리즘 발생의 역사
2. 중동 테러리즘의 환경적 분류
종교 테러리즘/ 국가 테러리즘/ 반체제 테러리즘/ 국제 테러리즘
3. 뉴테러리즘 시대
테러 전사들의 국제화/ 알 카에다 테러리즘/ 이슬람 국가(IS) 테러리즘 등장
제7장 이슬람 국가 출현
1. IS의 발호
IS 출현/ 서방 인질 참수/ 요르단 조종사 화형/ IS 세포조직 유럽 발호/ 러시아 민항기 폭파/ 주변 지역으로 세력 확산/ 서방 지하디스트 모집/ 국제사회의 IS 퇴치 계획 및 전황
2. IS 등장의 배경
발생/ IS 발생의 환경적 요인
3. IS의 실체
국가 차원의 위계 조직/ 칼리파 국가 건설 목표/ 이슬람 근본주의 신봉/ 영토 무력 점령/ 자금 조달 능력 보유/ 이슬람 전선의 개별 네트워크 확대/ 뉴미디어에 의한 선전 선동 전술/ 온라인 영문 홍보지 운영/ 군사 능력/ 교육 및 훈련/ 만행 사례
4. IS 등장의 국제 정치적 의미와 전망
미국의 대응/ 중동 역내외 역학 관계의 변화/ 이슬람 테러리즘 양상의 변화
5. 한국의 대테러 입장
이슬람 테러리즘과 한국인 피해/ 우리의 고려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