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트 디즈니 VS 미야자키 하야오
한 시대를 빛낸 두 인물을 재조명하는『VS 시리즈』제5권. 단순히 비슷한 성향의 두 인물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독특한 관점과 색다른 해석을 통해 두 인물을 서로 대조하고 평가하는 책이다. 흡사 동전의 양면처럼, 뫼비우스의 띠처럼, 쌍생아처럼 한 시대를 빛낸 찬란한 별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꿈과 환상을 만들어파는 사업가 월트 디즈니 VS 인간가치를 꿈꾸게 하는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양대산맥이라 불리기에 충분한 두 거장의 삶과 작품세계를 살펴본다. 그들의 삶과 활동, 애니메이션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이상 등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면서 읽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그들의 생애와 활동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애니메이션의 어제와 오늘을 한눈에 보여주고 있다.
저자 : 박인하
◈ 지은이 / 박인하
1995년 〈스포츠서울〉 신춘문예 만화평론 부문에 〈만화에서 예술성 성취는 가능한가?〉가 당선되면서 〈한겨레〉 〈동아일보〉 〈중앙일보〉 〈일간스포츠〉 등 일간신문이나 만화잡지․주간지․문예지 등을 통해 만화평론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또한 현장을 직접 뛰며 만화․애니메이션 관련 기획․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또 만화 기획자로서 부천만화정보센터의 만화규장각사업의 연구원으로 사업모델을 세웠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만화․애니메이션 축제인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의 큐레이터․기획팀장․코디네이터를 맡아 행사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또한 2000년에는 서울프리애니메이션영화제를 기획하고 진행했으며, 2003년에는 프랑스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 한국만화특별전에 공동 큐레이터로 참여했다.
한국만화복간프로젝트를 기획해 이두호의 《객주 박흥용》의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길창덕의 《꺼벙이》 윤승운의 《두심이 표류기》 등을 출판했으며, 경향신문에 한국 최초의 만화섹션 ‘펀(FUN)’의 창간을 주도하기도 했다.
현재 청강문화산업대학 만화창작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만화를 위한 책》 《아니메가 보고 싶다》 《누가 캔디를 모함했나》 《박인하의 즐거운 만화가게》 《꺼벙이로 웃다, 순악질 여사로 살다》 《아니메 미학 에세이》 《장르만화 연구》 《골방에서 만난 천국―박인하의 만화풍속사》 등이 있다.
책을 읽기 전에
1. 월트 디즈니
>> 애니메이션과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animation), 생명의 판타지
애니메이션의 시작
에밀 콜과 윈저 매케이
애니메이션, 산업과 만나다
>> 복합 엔터테인먼트 제국의 첫발
월트 디즈니 그리고 월트디즈니
월트 디즈니, 할리우드로
미키 마우스의 신화
>> 혁신의 발걸음과 놀라운 사업감각
소리, 컬러의 도입 그리고 미키의 변화
〈세 마리의 아기돼지〉에서 〈백설공주〉로
극장판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황금기
>> 영욕의 세월
두 얼굴의 디즈니
UPA, 그리고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디즈니, 그 영욕의 세월
2. 미야자키 하야오
>> 일본 애니메이션의 시작
전후(戰後)의 문화적 배경
데스카 오사무와 〈철완 아톰〉,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 시스템
새롭게 열린 TV 시리즈 시장
>> 꿈을 향한 도전
만화가가 되고 싶었던 어린이
평생 파트너 두 사람과의 만남
새로운 모색과 시작
>> 미야자키의 세계가 시작되다
원형적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을 모두 한 애니메이션
〈미래소년 코난〉에 나타난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관
첫번째 극장용 애니메이션
>> 극장판 애니메이션과 지브리
나우시카, 세계의 선지자
소년 소녀 모험담
>> ‘일본적인 것’을 향한 탐구
일본을 향한 미야자키 하야오의 시선
흥행 랭킹 1위
프로듀서 미야자키 하야오
천년 전 일본으로 돌아간 〈모노노케히메〉
일본 영화 사상 최고의 히트작을 만들다
맺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