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한국현대사와 함께 한 역사교육 70년의 발자취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는 역사를 왜 알아야 하는지, 어떤 역사를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위해 해방 이후 역사교육 70년의 발자취를 살펴본다. 이 책은 역사교육을 학교 교육에 한정시키지 않고 역사교육과 관련된 이념, 정책, 연구 등을 포함하여 역사 교육에 관련된 23가지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한국현대사가 일어난 시대순으로 배열되어 있고, 정치, 사회적 상황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현대사의 흐름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역사교육 70년사를 꿰어보고 역사교육의 미래를 그려보도록 안내한다.
저자는 한국사회에서 역사교육이 통치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 국가가 필요로 하는 국민을 만드는데 이용되어왔다고 소개한다. 권력을 잡은 사람들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권위주의 정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독재정권에 맞서 사회민주화에 힘쓰던 사람들의 사회의식을 높이는 데 역사를 이용하기도 했다. 또한, 이해관계나 관점을 달리하는 집단의 국사 교과서에 대한 관심이 커지자 ‘재야사학자’로 불리는 학자들은 국사 교과서의 상고사가 축소.왜곡 되었다고 주장하고,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파동으로 일본 우익교과서의 역사왜곡과 중국의 동북공정 등 역사분쟁이 더해졌다. 역사교육에 관심을 가지는 계층이 확산되고 관심 문제들이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저자 : 김한종
저자 김한종은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러나 198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 가입했다는 이유로 해임됨으로써, 평생의 꿈이던 역사교사 대신 역사교육을 공부하는 것으로 삶의 방향이 조금 달라졌다. 이후 대학원에서 역사교육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현재까지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예비 역사교사들을 가르치는 일을 주로 하면서, 역사나 교육을 비롯한 사회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역사왜곡과 우리의 역사교육》,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역사수업의 원리》, 함께 쓴 책으로 《역사교육의 이해》, 《길은 사이에 있다》, 《아틀라스 한국사》,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한국근현대사 교육론》,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역사교육의 이론》 등이 있다. 《학교사로 읽는 일본근현대사》를 함께 번역하기도 했다.
서문_역사교육에 비친 한국현대사의 모습 5
1부 해방 전후부터 1960년대까지
01 황국신민을 기르는 교육 - 국민학교와 국민과
02 해방 이후의 첫 국사 교과서 - 《초등국사》와 중등용 《국사교본》
03 민주시민 육성과 미국식 민주주의 교육 - 새교육운동과 사회과 도입
04 민주적 민족교육에서 과학적 역사인식까지 - 해방 직후 한국사 인식과 국사교육론
05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다’ - 단군사상과 홍익인간의 교육이념
06 이승만 정부의 통치이데올로기로 변한 역사이념 - 일민주의
07 서로 다른 삼한의 위치 - 1950~60년대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학설 문제
08 발전적 관점의 한국사 인식 - 한국사 연구와 국사 교과서의 식민사관 극복
2부 196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09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 - 국민교육헌장과 역사교육
10 초등학교에서 대학교까지 국사를 필수로 - 국사교육 강화와 국사과 독립
11 주체적 민족사관을 명분으로 - 국사 교과서 국정화
12 국난극복사관과 전통윤리 - 박정희 정부의 역사교육관
13 국회에 선 ‘국사되찾기운동’ - 상고사 논쟁과 국사 교과서
14 지배층의 역사에서 민중의 역사로 - 민중사학의 대두와 역사 교과서 비판
15 ‘살아 있는 삶을 위한 역사교육’ - 전국역사교사모임의 역사교육운동
16 ‘항쟁’인가 ‘폭동’인가 - 국사 교과서 준거안 파동
3부 1990년대 중반 이후 현재까지
17 역사와 사회과는 적인가 - 사회과 통합과 국사교육 선택 논란
18 포스트모던 역사학과 민족주의 역사학 - 민족주의 역사학과 역사교육을 둘러싼 논쟁
19 ‘서구 중심’에서 ‘유럽 중심, 중국 부중심’으로 - 유럽 중심의 세계사 교육 비판
20 전쟁과 식민지배를 합리화하는 역사교육 - 일본의 역사왜곡과 한·일 역사분쟁
21 고구려사는 어느 나라 역사인가 -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논란
22 자국사를 넘어서 지역사로 - 동아시아사의 탄생과 역사화해
23 정권이 바뀌면 교과서 내용도 달라져야 하나 -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파동
후기_역사교육 70년의 기록을 남기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