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와 함께 보는 한국 현대사
현장의 역사 교사는 교육 과정에서 객관적인 사료, 특히 현대사의 사료 부족을 항상 느껴 왔었다. 객관적인 사료의 개발과 보급은 분단을 딛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의 하나요, 분단 시대 교사가 올바른 역사 교육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이 사료집은 이러한 문제 인식 차원에서 시도되었다.
저자 : 김용택
저자 김용택 선생님은 1945년 해방둥이로 경북에서 출생하시고 1969년 경북 칠곡군 석적초등학교 근무를 시작으로 교직에 첫발을 들이셨다.
교직에 계신동안 전교조 관련으로 해직을 당하시고 1994년 울산 방어진 일산중학교로 복직하셨다. 교직에 몸담은 기간 동안 대한민국의 교육 현실에 분노하셔서 교육 개혁을 위한 운동에 헌신하셨다.
현재는 세종시에 거주하시며 각종 미디어를 통해 시민들과 소통을 하시고, 경남도교육청 정책자문위원과 세종시미래교육 자문위원으로 활동하시며 참교육을 실천하고 계시다.
저서로는
김용택의 참교육이야기-사랑으로 되살아나는 교육을 꿈꾸다[생각비행]
김용택의 참교육이야기-교육의 정상화를 꿈꾸다[생각비행]
이 땅에 교사로 산다는 것은[도서출판 불휘]
현대사 자료집 [전국역사교과모임]
마산*창원 역사읽기[도서출판 불휘, 공저]
식민지시대 교육운동 [논문]
제국주의 침략과 마산포 개항 등의 논문이 다수 있다.
목차
제 1 장 분단 시대의 개막
1. 전?후 한반도의 정세
2. 건국 준비 활동
3. 해방 전후의 정치 세력의 동향
4. 좌우 합작 운동
5. 민족의 광복과 남북협상
제 2 장 국토의 분단
1. 국토의 분단과 미군정
2. 신탁통치 문제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4. 6?25 전쟁
5. 휴전과 전후 복구
제 3 장 민주주의의 발전
1. 제 1공화국
2. 4?19 혁명
3. 제 2공화국
4. 5?16 군사 쿠데타
5. 제 3 공화국
6. 10월 유신과 제 4공화국
7. 제 5공화국
8. 제 6공화국
제 4 장 통일을 위한 노력
1. 외교 추진의 방향
2. 통일 정책의 추진
제 5 장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
1. 경제활동의 진전
1) 미군정 기의 경제
2) 정부 수립과 경제발전
3) 6.25 전쟁 후의 경제의 예속
2. 사회 개혁 운동의 전개
1) 의식 개혁 운동
2) 언론 활동
3. 노동운동
제 6 장 현대 문화의 동향
1. 교육과 학술 활동
교육 활동
2. 종교 생활과 학술, 문예활동
1) 종교 생활
2) 학술 활동
3) 문예활동
제 7 장
북한 현대사의 전개
1. 해방 후 북한의 정치 세력의 동향
2. 북한의 개혁
3. 북한 정권의 수립
4. 6?25전쟁과 북한
5. 북한의 전후 복구와 경제 건설
6. 북한의 주체 사상
부 록
1. 남한 주요 인물 (주)월간 다리 1990.1. 별책 부록
2. 북한 주요 인물 (주)월간 다리 1990.1. 별책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