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빈, 장옥정
정해진 운명을 거부하고 조선을 품은 여인
SBS 화제의 드라마 ‘장옥정’의 이야기
치밀한 고증과 오랜 산고 끝에 탄생한
팩션형 역사소설가 이수광의 역작!
▶ 내용 소개
사랑을 얻기 위한 처절한 싸움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틱한 소설 《희빈 장옥정》
2013년 4월 8일부터 SBS에서 방송 중인 드라마 ‘장옥정’의 이야기가 보다 사실적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오랜 산고 끝에 태어난 팩션형 역사소설가 이수광의 신작 《희빈 장옥정》이 미르북컴퍼니에서 출간된다.
치열한 당파 싸움으로 수많은 사화(士禍)가 발생하고, 여러 관료 및 왕족이 죽임을 당하던 조선 후기. 역사적 사건이 많은 만큼 그 소재 또한 무궁무진하여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와 소설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그때마다 단골로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숙종의 후궁이자 세 번째 왕비였던, 조선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 희빈 장씨다. 현재 기록으로 남아 있는 여러 사료나 문학 작품에서는 그녀가 빼어난 미모를 이용해 왕을 유혹하고 인현왕후를 몰아낸 ‘요부’, 왕의 아들을 낳아 국모의 자리를 탐내는 ‘욕망의 소유자’, 자신의 아들에게 화풀이하며 학대하는 ‘정신이상자’ 등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에게 악인의 아이콘으로 기억되고 있다. 과연 그녀가 진정으로 꿈꾸던 삶이 무엇이고, 왜 악인의 아이콘이 되었는가? 역사는 승자의 입장에서 기록된다는 말처럼 장희빈은 패자이기 때문에 악인으로 기록된 것인가?
《숙종실록》에서는 숙종을 폭군으로 기록하고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삭탈관직, 유배, 사사(賜死) 등을 일삼는 조선의 가장 무서운 왕이었다고 한다. 또한 숙종은 항상 반정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어, 당파 싸움을 이용해 서인과 남인을 번갈아 주요 관직에 임명하는 술수를 보였다.
장옥정은 당시 이러한 정치 상황의 가장 큰 희생양이라 할 수 있다. 서인과 남인 간의 싸움에서 서인이 승리하자, 남인에 가까웠던 장옥정은 죽임을 당한 것이다. 또한 승리자인 서인이 역사를 기록하였기 때문에 장옥정은 악인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숨 막히게 뜨거운 사랑을 하고, 잔인하게 버림받은 슬픈 여인
후궁 희빈 장씨가 아닌, 여자 장옥정의 삶과 이야기
중인의 서녀로 태어난 옥정은 반가의 첩이 될 운명을 거부하고 임금을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임금을 사랑한 대가는 죽음으로 이를 만큼 매우 고통스러웠다. 장옥정이 상궁에서 빈으로, 빈에서 왕비로, 다시 왕비에서 빈으로 지위가 여러 번 바뀌었어도 바라는 것은 오로지 ‘정인으로부터의 사랑’이었다.
왕은 여러 명의 부인을 둘 수 있었고, 특히 숙종은 변덕이 매우 심했기 때문에 장옥정은 여인으로서 질투를 할 수밖에 없었다. 그녀는 죽을 때까지 사랑하는 사람의 따뜻함을 바라고, 바라고, 또 바랐지만 끝끝내 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죽임을 당한다.
이수광 소설가는 팩션형 역사소설가답게 정사와 야사를 아우르는 방대한 자료와 치밀한 고증으로 조선 후기의 정치적·사회적 상황을 연구하여 장희빈이라는 인물을 새롭게 재해석하였다. 즉 악인이 아닌 ‘정인으로부터 따뜻한 눈빛과 사랑을 받고 싶은 외로운 순정녀’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역사적 자료에 충실한 이수광식 장희빈 이야기 《희빈 장옥정》을 통해 그녀의 삶을 재조명하고, 그녀의 넋과 비통함을 조금이나마 위로해 주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자.
1954년 충북 제천에서 태어났다. 1983년 <중앙일보>에 「바람이여 넋이여」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제14회 삼성문학상 소설 부문, 미스터리클럽 제2회 독자상, 제10회 한국추리문학 대상을 수상했다. 이수광은 오랫동안 조선시대 살인사건 기록에 남다른 관심을 기울여왔으며, 냄새가 물씬 풍기는 생생한 역사서를 집필해왔다. 지금은 수 년 안에 한국뿐만 아니라 영미권 독자들을 사로잡을 작품을 쓰고 싶은 꿈을 갖고 있다.
오랫동안 방대한 자료를 섭렵하고 수많은 인터뷰를 하면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역사의 지혜를 책으로 보여주는 저술가로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 팩션형 역사서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 베스트셀러 작가. 특히 추리소설과 역사서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글쓰기와 상상력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대중 역사서를 창조해왔다. 1983년 「중앙일보」에 단편 「바람이여 넋이여」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으며, 『저 문 밖에 어둠이』로 제14회 삼성미술문화재단 도의문화저작상 소설 부문, 『우국의 눈』으로 제2회 미스터리클럽 독자상, 『사자의 얼굴』로 제10회 한국추리문학 대상을 수상했다.
지금까지 단편에『바람이여 넋이여』,『어떤 얼굴』,『그 밤은 길었다』,『버섯구름』 外 다수가 있고, 장편에『나는 조선의 국모다』,『유유한 푸른 하늘아』,『초원의 제국』,『소설 미아리』,『떠돌이 살인마 해리』,『천년의 향기』,『신의 이제마』,『고려무인시대』,『춘추전국시대』,『신의 편작』,『왕의 여자 개시』, 『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연애사건』, 『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살인사건』 등 다수의 저작을 발표했다.
1 나는 하늘을 보았네
2 북방에 한 미인이 있어
3 옥정, 장안의 보배 같은 여자
4 인현왕후, 요조숙녀
5 옥정, 사랑을 다시 만나다
6 분이가 등장하다
7 옥정, 국모가 되다
8 임금이 사랑을 배신하다
9 음모의 소용돌이
10 인현왕후가 죽다
11 옥정, 사랑에 목숨을 걸다
작품 후기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