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만 모르는 민주주의
『우리만 모르는 민주주의』는 점거운동에 대해 다룬 것이 아니라 미국식 민주주의의 가능성에 대해 다룬 책이다. 그레이버는 이 책에서 월가 점거운동이 어떻게 일어났고, 어떻게 위축되어 갔는지, 왜 이러한 운동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는지, 왜 이 운동이 미국과 전 세계에 널리 퍼져 막대한 영향을 미쳤는지 등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흔히 미국을 국민을 위한 민주국가라고 말하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1%를 위한 공화국일 뿐이라고 말하며, 우리가 알고 있는 민주주의는 허구이고 1%의 필요에 의해 조작되었음을 역사적 근거를 통해 주장한다.
저자 : 데이비드 그레이버
저자 데이비드 그레이버(David Graber)는 월가 점거운동의 지도자이자 아나키스트 운동가로 알려진 저자는 노암 촘스키와 더불어 미국 보수 지식인들에게 가장 많은 공격을 받고 있는 인류학자이기도 하다. 그는 마다가스카르 지역 현장 연구 등 많은 인류학적 연구 성과를 통해 그의 세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지구적 민중행동People’s Global Action 및 세계산업노동자조합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 등과 같은 급진적 사회운동 단체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행동하는 지식인이다. 1984년 뉴욕주립대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까지 예일대학의 교수였으며, 이후 런던 골드스미스 대학에서 사회인류학과 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3년부터 사회과학 명문대로 알려진 런던정치경제대학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내에 소개된 저작으로는 『부채, 그 첫 5,000년』과 『가치 이론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이 있으며, 그 외에 『아나키스트 인류학을 위한 단상들』Fragments of an Anarchist Anthropology, 『가능성들: 위계, 반역, 욕망에 관한 에세이』Possibilities: Essays on Hierarchy, Rebellion, and Desire,『사라진 사람들: 마다가스카르의 마법과 노예제의 유증』Lost People:Magic and the Legacy of Slavery in Madagascar, 『직접행동연대: 민족지학』Direct Action: An Ethnography 등 다수가 있다.
역자 :
역자 정호영은 인도 콜카타에 있는 자다푸르대학Jadavpur University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라마크리슈나션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편, 인터내셔널 밴드의 멤버로도 활동 중이다. 『서준식 옥중서한』(개정판), 『마이크로소프트의 도전: X박스와 게임의 미래』를 비롯해 인문, 사회과학, 대중문화, 전산 등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기획했다. 지은 책으로는 『인도는 울퉁불퉁하다』, 『양방향 TV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매니지먼트』(공저), 『맨땅에 헤딩하리라』(공저)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섹스 피스톨즈 조니 로턴』, 『한대수 침묵』, 『디지털 TV 핸드북』, 알렉산드라 콜론타이의 『붉은 사랑』과 『위대한 사랑』, 『바가트 싱』,『마하트마 간디 불편한 진실』 등이 있다.
서문. 진정한 민주주의는 가능한가?월스트리트 점령운동은 끝나지 않았다
1장. 시작은 가까이에 있다-월스트리트 점거의 시작
4월 6일 운동
유에스 언컷
16 비버스트리트
8월 2일
99%의 운동
모임들
그날, 9월 17일
2장. 왜 점거운동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는가?
│질문1│ 1960년 이후 저항운동과 월가 점거에 대한 미국 언론의 보도는 왜 다른가?
│질문2│ 왜 운동이 미국 전역에 급속하게 퍼져나갔는가?
│질문3│ 왜 1967년, 심지어 1990년에도 거의 일어나지 않았던 부채를 진 교육받은 젊은 세대의 저항이 미국 노동계급의 공감을 얻게 되었는가?
│질문4│ 정치제제에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은 점거운동이 왜 더욱 주목을 받았는가?
│질문5│ 왜 혁명운동인가?
│질문6│ 왜 미국에서는 정치와 경제의 역할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가?
│질문7│ 왜 점거운동은 캠프가 철거되고 나서 그렇게 빨리 위축되었는가?
3장. 민주주의의 숨겨진 역사
미국 민주주의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민주주의에 관한 불편한 진실
아나키즘의 역사
아나키즘이 만들어가는 세상
합의에 의한 민주주의
4장. 어떻게 변화를 만들 것인가?-민주주의를 위한 실천 방안
합의
합의에 대해 자주 나오는 질문(FAQ)
그래야 할 확실한 이유가 없다면 합의해야 할 제안을 내지 말 것
직접행동, 시민 불복종 그리고 캠핑
전술: 경찰 다루는 법
전략적 모델들
5장. 주문 풀기
혁명이란 무엇인가?
사회 통념에 던지는 네 가지 제안
│work 1│ 생산주의에서 벗어나기
│work 2│ 노동 개념 바꾸기
│work 3│ 관료제
│work 4│ 공산주의 재선언
혁명은 끝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