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아직도 프로이트인가 - 정신분석학을 관통하는 5가지 이론
후대의 많은 지적과 오류들로 너덜너덜해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하지만 우리는 왜 아직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주목하고 있는가.
정신분석학을 관통하는 5가지 이론을 살펴보며 프로이트의 학문적 업적을 한눈에 꿰어보자!
인간 안에 잠재해있는 무의식의 영역을 최초로 인식, 연구하여 사회학, 교육학, 인류학, 철학 등 수많은 학문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20세기 사상의 근저로부터의 전환을 가져 온 프로이트. 그의 이론은 ‘문명’을 개인의 무분별한 욕망을 억압하여 사회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 이해하고, 본능, 자아, 초자아의 구분을 통해 사회와 인간의 관계를 정립하고 있다. 하지만 막상 현 주류 심리학계과에서는 그의 이론을 비과학적인 이론이라 폄하하며 많은 오류들을 지적하고 있으며 옹호자들과 비판자들의 논쟁은 때로는 매우 격렬해 이를 ‘프로이트 전쟁‘이라고까지 부르고 있다.
그렇다면 그의 이론이 가지는 오류와 한계는 무엇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아직도 학계는 프로이트 담론을 끊임없이 곱씹고 있으며, 그의 선구적 이론의 업적을 기리는 것일까? 백여 년이 지난 지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어떠한 의미로 다가오는지 한권의 책으로 되새겨보자.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을 공부했다.
‘교보문고 북모닝 CEO’의 북멘토로서 심리학 책의 서평을 쓰고, 인터넷 한겨레의 ‘심리학자 김태형의 블로그’를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심리학자, 정조의 마음을 분석하다』, 『베토벤 심리상담 보고서』(대한출판문화협회 선정 2008년 올해의 청소년도서), 『스키너의 심리상자 닫기』, 『새로 쓴 심리학』, 『성격과 심리학』(공저), 『부모-나 관계의 비밀』(공저) 등이 있다.
들어가는 말_ 왜 아직도 프로이트인가?
프롤로그 정신분석학을 관통하는 5가지 이론
Chapter 1 심적 결정론 : 정신현상에 우연이란 없다
Chapter 2 동기 이론 : 마음의 중심에 동기가 있다
Chapter 3 갈등 이론 : 개인역사는 동기투쟁의 역사이다
Chapter 4 정신 구조론 : 프로이트의 정신 삼국지
Chapter 5 사회론 : 사회는 사람에게 적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