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도박에 빠지는 걸까 - 도박으로 고통받는 사람들과 가족들을 위한 110가지 이야기
도박중독은 결코 불치병이 아니다!
『왜 우리는 도박에 빠지는 걸까』는 도박중독이라는 늪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는 도박중독자와 그의 가족들에게 소중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 저자는 도박중독 분야에서 10여 년간 현직에 몸담으면서 겪었던 다양한 경험과 오랜 시간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 책을 썼다. 이 책은 임상 전문가의 노하우가 고스란히 담겨 있어서 도박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한줄기 빛과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사람들은 도박에 중독되면 쉽게 치유할 수 없고 빠져나오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오해이고 편견이다. 저자는 도박중독에 대한 사람들의 오해와 편견을 깨뜨리고 도박중독자를 치유의 길로 이르도록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도박중독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거나 혹은 가족 중 누군가가 도박중독으로 힘들어하고 있다면 이 책을 통해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사회가 다변화하면서 도박의 종류도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도박 자체가 아니라, 자제력을 잃고 도박에 탐닉하게 만드는 도박중독이다. 도박중독은 불치병이 아니라 치유할 수 있는 병이다. 그럼에도 왜 도박을 끊지 못하는 것일까? ‘도박중독은 고칠 수 없는 병’이라고 생각하는 잘못된 인식 때문이다. 도박에 빠진 사람들이 도박중독에서 벗어나겠다는 단호한 의지를 갖고 주변 사람들의 적극적인 도움을 받아 올바른 치유법으로 치료만 받는다면 누구든지 도박중독을 극복할 수 있다. 이에 저자는 현장감 있는 조언과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도박중독을 해결하고자 한다. 전문용어를 가급적 배제하고 구체적인 임상 사례를 제시해서 읽는 맛을 더한다. 또한 도박중독은 소수만이 겪는 문제가 아니라 누구에게나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고, 치유가 가능한 병임을 알게 될 것이다.
올바른 치유법을 알면 누구나 도박중독을 극복할 수 있다!
도박중독 치유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도박중독자가 사용하는 말을 변화시켜야 한다. 대부분의 도박중독자는 “돈을 메꾸다.” “도박으로 빚을 만회하다.”와 같은 말을 자주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말을 되풀이하면 도박중독을 극복하기 어렵다. 도박 때문에 망가졌던 때로 돌아간다는 과거지향적인 뜻을 담고 있어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도박중독자는 과거지향적인 말을 지양해야 한다. 그리고 도박중독자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상태가 어떠한지를 분명하게 알려야 한다. 하지만 도박을 그만두겠다는 의지가 굳건함에도 도박 충동이 생긴다면 2가지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먼저 ‘회피와 대치’ 전략을 활용해서 도박 충동을 자극하는 상황을 무조건 피하고, 도박을 대신할 수 있는 다른 활동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이 단계에 익숙해지면 ‘반박과 논쟁’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 이는 도박으로 얻게 될 기대나 이득을 부정하는 전략으로 도박 충동이 느껴질 때 활용하면 충동을 가라앉힐 수 있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치유법을 알고 적용하면 누구나 도박중독을 극복할 수 있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도박과 도박중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정보를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2부는 좀더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박중독이 우리 삶에 치명적인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도박중독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다양한 문제와 그 해결 방안도 함께 제시한다. 3부에서는 사람들이 도박 중독에 대해서 흔히 가지고 있는 오해와 편견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이러한 잘못된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정한 사람만이 도박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누구든지 도박에 중독될 수 있음을, 그리고 도박중독에 빠질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제시함으로써 도박중독자의 심리를 이해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도박중독에 대한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도박 빚을 어떻게 갚을 것인지, 이로 인해 법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등을 알려준다. 특히 실생활과 밀접한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해서 도박중독자와 그의 가족들에게 큰 도움을 준다. 이는 다른 도박 관련 서적과 차별화를 지니는 부분이기도 하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임상심리전문가 수련 과정을 마쳤다. 임상심리전문가가 된 첫해부터 지금까지 10년간 도박중독 분야에 몸담으며 도박 중독자와 가족들의 치유와 회복을 위해 애써왔다. 현재 한국마사회(KRA)의 임상심리학자로 재직중이다. 도박중독 전문가들과 함께 쓰거나 번역한 책으로는 『도박중독 심리치료』『도박에 빠진 가족 구하기』『파스칼의 내기, 노름의 유혹』 『청소년의 도박 문제』 등이 있다.
지은이의 말_도박중독은 결코 불치병이 아니다
Part 1 도박과 도박중독을 말한다
1장 도박이란 무엇인가?
2장 도박중독이란 무엇인가?
Part 2 도박중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1장 도박중독이 우리 삶에 치명적인 이유
2장 도박중독자는 어떤 사람인가?
3장 도박 충동보다 더 무서운 건 없다
4장 도박중독에서 돈 문제는 필연적이다
5장 도박중독으로 돈을 잃을 수밖에 없는 이유
6장 도박중독자, 선택만 있고 책임은 없다
7장 도박중독을 알리는 방법은 따로 있다
8장 도박중독은 가족까지 병들게 한다
9장 회복으로 가는 길은 무엇인가?
Part 3 도박중독에 대한 불편한 진실
1장 도박중독에 대해 잘못 알려진 오해 8가지
2장 도박중독자에 대한 오해와 편견 10가지
3장 회복 과정에 대한 오해와 미신 10가지
Part 4 도박중독의 해결책은 반드시 있다
1장 도박 빚을 어떻게 갚을 것인가?
2장 도박중독자의 돈 관리, 이렇게 해야 한다
3장 법적인 문제는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4장 회복의 길은 도박중독자, 본인의 책임이다
5장 회복의 길에 가족의 도움은 절대적이다
6장 회복에 도움이 되면 무엇이라도 해야 한다
7장 재발하더라도 딛고 일어서는 것이 중요하다
부록 1 도박중독 체크리스트
부록 2 도박중독 치료 관련 기관
『왜 우리는 도박에 빠지는 걸까』 저자와의 인터뷰